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속성 선택자
- !doctype html
- select
- Python
- Border
- tag
- Head
- ::first-letter
- HTML정의
- ul
- 전체 선택자
- BR
- ::before
- 인라인 레벨 요소
- colspan
- table
- JAVA 개발 환경 설정
- rowspan
- option
- :active
- JavaScript
- BODY
- ::first-line
- Form
- Title
- textarea
- 한정수 강사님
- Ol
- img
- Li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4)
개발 공부 기록하기
일단, 제일 × 100000000 중요한 건, 무조건 포기하거나 무조건 도전하지 말고 잠시 고민해보라는 것! ∵ 후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Q. 너, 여기서 그만두고 싶어? A. 그만두겠다고 결론을 짓더라도, 개발이 어떤 것인지 경험한 것만으로도 삶의 여러 부분에서 분명 도움이 될 거니까 괜찮다! A. 혹시 개발을 제대로 경험도 안 해보고서 섣불리 그만두려고 하는 것 아닌지 고민해봐. A. 개발 자체가 재미없었던 게 아니라 네가 선택했던 그 강의가 재미없었던 게 아닌지 돌아봐. Q. 재미없어도 다시 도전할래? A. 다시 도전할래! 어떻게 일이 재밌기만 하겠어? 재미없을 때도 있는 거지! A. 개발자라는 직업 특성이 본인과 잘 맞는지 다시 한 번 고민해보자. 평생 학습 같은 특성이 미치..
음.. 개발 공부는 웹 개발의 기초 of 기초라는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먼저 시작해야된대서 (카더라 통신..ㅎㅎㅎ) 어줍잖은 시도겠지만 Do it! 시리즈 책을 사서 하나하나 따라해봤다. CSS의 중반 쯤까지 해보다가 중간에 방황을 하는 바람에 아직 마무리는 짓지 못했지만.. (할 거다.. 꼭) 코드 그 몇 글자 따라 쳤다고 문서에 줄이 생기고 글자가 늘어나고 표가 생기고 아무튼 이쁘게 꾸며지는게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현업 개발자분들에겐 '겨우 요 정도 재미 가지고 재미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라고 비춰질 수는 있겠지만 아무튼 재밌는 건 재밌는 거니까:) 들은 풍월에 따르면 내가 한 부분은 고작해야 어린 아이들이 덧셈 뺄셈을 배우는 수준에 지나지 않을 거라고 했다. 앞으로 재미를 계속 느낄 수..
스스로 발전함으로써 느끼는 그 성취감, 성장하는 느낌이 좋아서. 진짜다. 제일 처음 개발자에 흥미를 가지게 된 건 그 이유 때문이었다. 조사하다보니까 여러 다른 좋은 점들도 있었지만...!!ㅎㅎㅎㅎ 흔히들 아래와 같은 이유로 개발자가 되고 싶어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 내가 ○로 표시할 수 있는 건 단 한 가지 뿐이었다. 그리고 무섭게도, 내가 고른 그 한 가지 것이 인프런에서 접하게 된 한정수 강사님이 꼽은 개발자가 되고 싶어하는 이유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바로 그 한 가지 것이었다. 취업이 어려운데 개발자는 취업이 잘 된대서?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망한 직업을 갖고 싶어서(×) 개발자의 연봉, 복지, 워라밸이 좋아서 (×) 직접 만들고 싶은 사업 아이템이나 서비스가 있어서(×) 디..
웹 페이지에 이미지를 삽입할 때는 라는 tag를 사용한다. 다른 tag들 처럼 닫히는 tag로 감싸줄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tag의 후반부에 /를 써준다. src = source. 이미지가 위치하는 URL alt = alternative. 한국어로는 대체 텍스트라 한다. 이미지가 로딩되기 전이나, 이미지를 로딩할 수 없는 경우 이미지의 위치에 텍스트가 표시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치와 검색엔진에서도 사용된다. 그래서 꼭 쓰는 것이 좋다. width, height = 이미지의 크기. px단위.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이미지의 크기를 인식해서 제 크기로 표시해주지만, 별도의 크기를 원할 경우는 tag 내에 명시해 주면 됨. 명시해놓으면 웹 페이지의 로딩이 오래걸리는 동안 화면 내에서 갈피가 잡히지 않고 흔들..
보통 문서를 작성할 때처럼 똑같이 Space 키를 누르면 된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space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BUT, html에서는 이 space 문자가 딱 한 번만 인정된다. 그래서 여러 번 Space 키를 눌러도 한 칸만 띄어쓰기가 된다. 이럴 때 기호를 사용한다. ex, 문장 문장 & 이건 나중에 이스케이핑(escaping)에서 다룬다. 일단 p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