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l
- select
- Head
- ::before
- BODY
- 한정수 강사님
- img
- Title
- Form
- tag
- ::first-line
- BR
- 인라인 레벨 요소
- textarea
- :active
- JavaScript
- colspan
- 전체 선택자
- rowspan
- 속성 선택자
- option
- Python
- HTML정의
- !doctype html
- table
- Li
- ::first-letter
- JAVA 개발 환경 설정
- ul
- Border
- Today
- Total
목록Head (3)
개발 공부 기록하기
보통은 tag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tag와 형제 관계이다. 문서의 내용 자체 (×) 그 문서의 내용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표시 (○) ex, 옷에 붙은 태그 생각하면 됨! 디자이너는 누구고, 어떻게 빨래해야 되고, 재질은 무엇이고 .... 디자이너는 누구고, 어떻게 빨래해야 되고, 재질은 무엇이고 .... 이런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 = 'meta data (메타 데이터)' 라고 한다.
HTML의 구조 : 현재 문서가 HTML5 규칙을 따른 웹 문서임. ㅇㅇ.. ~ : 웹 문서의 시작&끝. web browser는 이 안의 code를 읽어서 화면에 표시함. : web browser가 웹 문서를 해석할 때 필요한 정보 ~ : 실제로 web browser가 화면에 띄워주는 내용 ※ 영어 대문자, 소문자 구분 안 해도 됨. 강조하고 싶을 때 대문자 씀. html tag에서 사용 언어를 표시하는 이유는 무엇이냐! →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언어로 제한해서 검색할 때 필요함. → screen reader(화면 낭독기)로 웹 문서를 소리 내서 읽어줄 때 발음, 억양, 목소리를 다르게 할 수 있음. (이거.... 필요해....?) 의 하위 tag - 자주 쓰는 와 meta information: dat..
생활코딩 ▲ 이렇게 글씨 써진 것을 source(또는 code), 이러한 행위를 하는 걸 programming(또는 coding)이라고 한다. 이 파일을 helloworld.html로 저장한다고 하면, 여기서 .html과 같은 것을 '확장자'라고 부른다. 이 파일이 어떤 형식을 띄고 어떤 성격을 띄는지 나타내주는 것이다. .html은 html로 쓰여진 코드가 들어있는 web page임을 나타내고, .mp3나 .wmv는 오디오가 들어간 음악파일을, .mov나 .avi는 동영상파일을 나타낸다. html 문서는 기본적으로 이라는 tag로 시작하고 이라는 tag로 끝난다. 그리고 두 tag 사이에 필요한 내용을 넣게 된다. 보통 , 라는 tag가 온다. 이는 html 문서 규약으로 약속되어 있는 표준이니까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