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ML정의
- Border
- BODY
- rowspan
- select
- Ol
- !doctype html
- BR
- 한정수 강사님
- ::first-letter
- JAVA 개발 환경 설정
- Title
- 속성 선택자
- Python
- 인라인 레벨 요소
- option
- ::before
- Head
- Li
- colspan
- ul
- :active
- tag
- Form
- JavaScript
- img
- 전체 선택자
- table
- ::first-line
- textarea
- Today
- Total
목록한정수 강사님 (3)
개발 공부 기록하기
개발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자료는 세상에 많고도 많다. 하지만, 이런 훌륭한 자료를 하나, 두 개 더 남들보다 더 본다고 해서 내가 엄청나게 뛰어난 개발자가 될 수는 없다. 내가 직접 만든 자료라면 몰라도, 개발자들이 이미 공개해 놓은 자료까지 꽁꽁 숨겨놓지는 말자. 다 함께 "으쌰으쌰!!" 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좋은 개발 회사는 '사내 추천'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람들하고 척을 져봤자 나에게 득 될 것이 없다. 개발은 남을 짓누르고 나 혼자 잘하면 되는 일이 아니라, 함께 상생하는 일이다. 워어어 강사님이 해 주신 멋있는 말 있어서 강조해 놔야겠다. 명언 제조기이신 줄ㅠㅠㅎㅎㅎㅎ 나의 경쟁상대는 비슷한 시기에 개발자가 되려는 주변 사람이 아니라, 어제의 나 자신이고, 한 시간 전의 나 자..
1. (개발을 처음 접한다면) 개발 언어 기본서 - 다른 도구를 통해서 개발 언어를 학습한 상태라면 이 단계는 skip 가능 - 내가 공부하려는 언어의 기본서를 탐색해 볼 것. 한두 개 블로그 글만 참조하지 말고 여러 개발자의 의견을 참조, 종합하기 (검색어 예시: 파이썬 기본서 추천, 자바 기본서 추천, 자바스크립트 기본서 추천 등등) 2. 내가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책 - 효율적으로 실력 향상하는 방법은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서비스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 - 만들고 싶은 게 없다면 요즘은 작은 프로그램 만들기를 콘셉트로 하는 책이 많기 때문에 그런 것 사다가 해 보는 것도 괜찮음 3. 많은 개발자들이 추천하는 개발자 필독서 - 이게 제일 우선적이어야 하는 것..
책의 장점 책의 목차 비전공자가 개발 도전 힘든 이유: 뭘 모르는지 몰라서. 그 기술의 중요한 내용을 목차로 어림잡을 수 있어 - 굉장히 유익함. 비전공자가 개발 기술 각각에 필요한 너비, 깊이를 파악하기 어려운데, 이에 도움이 됨. 목차를 통해 너비를 알 수 있어서, '얼마나 깊게 파고들지'만 선택하면 됨. ex, 어떤 부분을 먼저, 중점적으로 학습할지 정제된 문장으로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학습에 있어 제.일. 중요한 것: 그걸 왜, why, 为什么 사용하는지, 역할은 무엇인 알아야! 정제된 문장으로 적힌 '기술의 용도' = 모든 것이 낯선 비전공자에게 등산로의 안내판 역할. 면접 준비 ─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걸 정말 알고 있는 게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 ─ 에 '정제된 문장'을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