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공부 기록하기

웹 개발이냐, 앱 개발이냐. 뭘 선택해야 하나? 본문

프밍/[인강] 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웹 개발이냐, 앱 개발이냐. 뭘 선택해야 하나?

태영(泰伶) 2022. 10. 5. 23:28

개발자 = 코딩하는 직업

 

맞긴 맞지.. 근데,

오로지 이것뿐일까?

그러니 개발자가 되려면 무작정 코딩 공부를 하면 되는 걸까?

 

답은 No!

코딩은 코드를 작성하는 행위만을 의미한다.

 

마치

음악가는 음악이라는 행위를 하는 직업이고

음악 학습을 하면 되는 것이냐는 질문과 비슷해보인다.

 

음악가는 악기 연주를 하거나, 노래를 하거나, 작사/작곡을 하는 등 각자의 분야가 있다.

 

이처럼,

개발자에도 분야가 있다.

 

개발자는 코딩이라는 행위를 하는 직업이고,

그 안에 다양한 분야로

 - 웹/앱 개발

 -  DevOps/인프라 개발

 - Data Engineer/Data Scientist

 - AI/머신러닝 개발

 - 임베디드 개발

 - 게임 개발

 - 보안

등이 있다.

 

 

 

본격적으로 도전하기 전에 개발 분야 선택이 필요한 이유부터 짚고 넘어가자.

 

1. 분야에 따라 사용하는 기술이 달라서

2. 기술에 따라서 학습하는 방법이 달라서

 

 

 

분야별로 하는 일

1. 웹/앱 개발

     1) 웹 개발

  • PC/Mobile의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를 개발한다.
  • 백엔드(Server) 개발과 프론트엔드(Client) 개발로 나뉜다.
  • '웹 개발자'라는 명칭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따로 없던 때의 명칭이다.

              → 아직도 채용공고에 '웹 개발자'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상세 내용을 확인하여 server쪽 개발을 원하는지, client쪽 개발을 원하는지,

                   아니면 둘 다를 원하는지 알 수 있다.

 

     2) 모바일 앱 개발

  • 모바일 기기용 어플리케이션(App)을 개발한다.
  • 운영체제에 따라 Android 앱 개발과 iOS 앱 개발로 나뉜다.
  • React Native, Flutter 등의 언어를 활용하면 Android와 iOS 구분 없이 개발 가능하다.

 

     3) 백엔드 vs. 프론트엔드

 

 

 

깨끗하다 vs. 지저분하다 (×)

 

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볼 수 있다 vs. 볼 수 없다. (○)

 

 

 

 

 

 

 

 

 

 

 

왼쪽은 백엔드 개발자가 보는 프론트엔드&백엔드, 오른쪽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보는 프론트엔드&백엔드라고 한다....ㅎ

          - 최근 몇 년 간, 프론트엔드 분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많은 진통이 있었을 것이라 한다.

          - 이에 비해서 백엔드는 여전히 복잡한 것은 맞지만, 뭔가 잘 정돈이 된 느낌이다.

            변화하는 속도가 최근 몇 년간 그리 빠르지만은 않았기 때문이다.

          - 백엔드든 프론트엔드든 어느쪽이 결코 쉽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현업자들 사이에서는 (비전공자 사이에서만큼) 프론트엔드가 쉽다는 인식이 전혀 없다.

            그러니까 본인에게 맞는 분야를 고르는 게 훨씬 중요하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18890

 

인터넷을 여는 열쇠 : 서버와 클라이언트 - 생활코딩

--- 지금부터 인터넷이 동작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질문입니다 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최소 몇 대가 있어야 할까요? 2대입니다 1대는 인터넷이 아니고 3대는 본질

opentutorials.org

프론트엔드, 백엔드가 어느 부분의 일을 관장하는지! (출처: 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강좌 by 한정수 강사님)

 

진로 선택에 있어서 참고할 사항

  백엔드 개발자 (= Server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 Client 개발자)
언어 Java, Python, Javascript, Go, PHP, C++ 등 Javascript, Typescript 등
웹 프레임워크 Spring, Django, Express, Laravel 등 React.js, Vue.js, Angular.js, Svelte 등
학습 범위 비교적 넓다.
(https://d2.naver.com/news/3435170)
비교적 좁다.
(https://jbee.io/essay/for_junior_frontend_developer/)
학원 국비지원학원, 사설 학원(부트캠프), 인강 국비지원학원, 사설 학원(부트캠프), 인강
취업 서비스 회사의 신입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기가 쉽지 않다. (많이 뽑지만 경쟁도 치열하다) (경험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부족
특징 웹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장과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한다. 최근 몇 년간 기술의 진화가 매우 빨랐다.

* 비즈니스 로직:  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기능

 

https://www.youtube.com/watch?v=IXtfqhBIQos 

https://www.youtube.com/watch?v=S9qAtvvvxio 

 

한정수 강사님에게 많이 들어오는 질문과 답

 

Q.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 미적 감각이 뛰어나야 하는가?

A. No. 소규모의 회사가 아니라면 제품 디자이너, UX/UI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해 주기 때문에,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미적 감각이 뛰어날 필요는 없다. 다만, 개인 프로젝트를 한다거나, 회사에 디자이너가 별도로 없는 경우에는 미적 감각이 있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Q. 개발을 처음 시작할 시절로 돌아가 개발 분야를 다시 선택한다면, 프론트엔드? 백엔드?

A. 똑같이 웹 개발 백엔드로 커리어를 시작할 것이다. All round player라고 생각하기 때문. 첫 시작을 웹 개발 백엔드로 하는 것이 추후에 다른 분야로 진입하기에도 수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2. DevOps/인프라 개발

  • 개발되는 웹/앱 서비스가 배포되고 동작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개발
  • 비전공자가 처음부터 진입하기는 쉽지 않은 분야이지만(주로 경력자를 채용한다) 최근 AWS와 같은 Clound Computing Service를 사용하는 회사가 많아지면서 전망이 밝은 분야 중 하나이다.
  • DevOps, SRE, 인프라 개발자, 시스템 개발자, 플랫폼 개발자 등 다양한 역할과 명칭이 있다. (회사마다 다르다 -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업무, 회사마다 만드는 서비스가 달라서, 개발환경이 달라서)
  • Cloud Computing Service가 대세가 되면서 DevOps와 SRE라는 개념과 직무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https://bcho.tistory.com/1325)
  • 실제로 DevOps와 인프라 개발자의 업무는 채용공고를 보면 됨. 채용공고 보기 전 https://blog.rhostem.com/posts/2018-07-22-web-architecture-101 참조.
  • https://subicura.com/devops/ 참조.

 

3. Data Engineer/Data Scientist

  • 데이터 분석가 vs. 데이터 엔지니어  vs.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 데이터 분석가: 주로 통계학 전공을 한 사람들이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해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해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 엔지니어: 빅테이터 기술이 발달하며 데이터 분석가와 구별되는 역할이 생겨났다.

                                         대량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것만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딥러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대량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것을 추출함과 동시에

                                                비즈니스적 인사이트까지 함께 뽑아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회사마다 정의가 다를 수 있음!>

 

          비전공자가 이 분야로 진출하고자 한다면 봐야할 영상 2가지

           1. https://www.youtube.com/watch?v=8mjeJpHtLVQ 

 

           2. https://www.youtube.com/watch?v=M5v1nXiUaOI 

 

 

참고할 자료 1. https://www.youtube.com/c/kyleschool

 

카일스쿨

카일 스쿨 - 카일이 알려주는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러닝, 데이터 엔지니어링, 머신러닝 엔지니어링, MLOps, BigQuery - 커리어 고민, 취업 이야기, 포트폴리오, 꾸준히 성장하는 방법, 동기부여, 팀장

www.youtube.com

 

참고할 자료 2. https://github.com/Team-Neighborhood/I-want-to-study-Data-Science

 

GitHub - Team-Neighborhood/I-want-to-study-Data-Science: 데이터 사이언스를 공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글

데이터 사이언스를 공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글 . Contribute to Team-Neighborhood/I-want-to-study-Data-Scien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참고할 자료 3. https://inspirit941.tistory.com/entry/%EB%8D%B0%EC%9D%B4%ED%84%B0-%EC%97%94%EC%A7%80%EB%8B%88%EC%96%B4-vs-%EB%8D%B0%EC%9D%B4%ED%84%B0-%EC%82%AC%EC%9D%B4%EC%96%B8%ED%8B%B0%EC%8A%A4%ED%8A%B8-vs-%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EA%B0%80-%EC%B0%A8%EC%9D%B4%EA%B0%80-%EB%AD%98%EA%B9%8C

 

데이터 엔지니어 vs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vs 데이터 분석가, 차이가 뭘까?

17.09.28 데이터 엔지니어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세미나 - 패스트캠퍼스 성수캠퍼스 강연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 데이터분석 분야를 진로로 정한 후, 데이터 분석에 관련된 다양한 세미나를 가

inspirit941.tistory.com

 

참고할 자료 4. https://tech.kakao.com/2020/11/30/kakao-data-engineering/

 

데이터 엔지니어링이란

안녕하세요, 데이터정보플랫폼팀 kenny입니다.카카오는 매년 신입 개발자 공채와 인턴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카카오 그리고 데이터 엔지니어링에 관심 있는 주니어 개발자 또는 예비 개발자분

tech.kakao.com

 

참고할 자료 5. https://www.notion.so/Inside-AB180-1-5fdc7377ce6646f1a66c7007f4b38fa6

 

Inside AB180 #1 : 데이터 엔지니어 정주홍님 인터뷰

안녕하세요, 마케팅 테크놀로지 컨설턴시 에이비일팔공입니다.Inside AB180은 재직자 인터뷰, 사무실 소개, 복지 자랑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AB180의 문화를 알리는 코너입니다.

www.notion.so

 

이 이외에는 게임 개발 분야를 제외하고는

전공자가 주로 진입하는 분야라서 설명 생략^^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