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i
- table
- JAVA 개발 환경 설정
- Border
- option
- ::before
- Form
- HTML정의
- JavaScript
- !doctype html
- Ol
- colspan
- img
- Head
- ::first-line
- ul
- rowspan
- BR
- 속성 선택자
- Python
- textarea
- BODY
- 인라인 레벨 요소
- select
- :active
- Title
- 전체 선택자
- ::first-letter
- tag
- 한정수 강사님
- Today
- Total
개발 공부 기록하기
개발 분야별 주요 언어와 특징 - 웹 백엔드 본문
1. JAVA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Java 개발자 채용이 가장 많다)
- 속도, 안정성이 중요하고 규모가 큰 서비스에 적합한 언어
- 쿠팡, 네이버, 카카오, 라인, 우아한형제들, 토스 등등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SI회사)
2. PYTHON
- Java보다 쉽고 간결한 문법, 배우기 가장 쉬운 언어
- 머신러닝(ML), 딥러닝(DL)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도전하려면 배워두는 것이 좋다.
그저 많이 사용한다는 것일 뿐, Python을 잘해야 ML, DL을 잘한다는 말은 아님! 그 분야의 지식과 경험이 중요함!
- 한국에서는 주로 스타트업에서 많이 사용한다.
- 외국에서는 큰 서비스들도 Python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ex, 인스타그램, 스포티파이 등
3. JavaScript
- 주로 프론트엔드에 쓰이는 언어이지만 Node.js라는 Javascript 런타임으로 백엔드 개발도 할 수 있다.
(2019년 Node.js를 만든 개발자가 Node.js를 보완하여 Deno라는 런타임을 새로 만들었다.
차후 Node.js를 대체할 것으로 보이나,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기에 비전공자가 벌써 공을 들일 필요는 없어 보인다.)
* 런타임: 위키백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B%9F%B0%ED%83%80%EC%9E%84
- 런타임 덕분에 Javascript 하나만 알아도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한 요청을 빠르고 간결하게 응답하는 API 개발에 주로 쓰인다.
-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Node.js의 인기가 줄어들고 있다.
(But, Javascript는 웹 개발에서 대세여서, 설령 나중에 Node.js를 안 쓰게 되더라도
Javascript를 주 언어로 삼고 배워두는 건 시대의 흐름에 맞는 선택이다!)
4. GO
- Google에서 2009년에 만든 언어
- 기존 언어들(C언어, Python)의 장점을 섞었다. → 성능 좋은데 문법도 간결하다.
- 사용하는 회사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But, 한국에선 아직 라이브러리가 부족하고 사용자가 적기 때문에
메인 서비스의 백엔드 언어로 사용하기에는 부담이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 Google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Go를 많이 사용한다. 앞으로 더 많이 사용될 언어일 것이다.
5. PHP
- 빠르게 웹 서비스를 개발하기에 좋은 언어이다. (그래서 국내 쇼핑몰 대다수가 PHP이다.)
* 마켓컬리에서의 PHP 이야기 - PHP의 위상 https://helloworld.kurly.com/blog/php-development-in-kurly/
- 그러나 이제는 해외에서나 국내에서나 인기가 많이 떨어졌다.
- PHP 개발자를 구인하는 회사는 여전히 많지만, 오래된 프로젝트인 경우가 많아 개발자들이 가기를 꺼린다고 한다.
결론
- 개발을 처음 접하는 비전공자라면?
→ Java, Python, Javascript 中 1
- 취업이 급하거나, 큰 서비스 만드는 회사에서 백엔드 개발을 하고 싶다!
→ Java
-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싶고, ML/DL 분야에도 관심이 있다.
→ Python
-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중에 선택하지 못했다.
→ Javascript
※ 첫 언어 선택 - 오해 주의!!!
- 처음 선택한 언어를 평생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개발을 처음 접했다면, 한 언어가 익숙해지기까지 다른 언어는 손을 대지 않는 게 도움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회사에서 새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새로운 언어를 빠르게 학습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 때 본인의 주 언어와 패러다임이 완전히 다른 것을 학습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한 가지 언어에 능숙해지면, 다른 언어는 금방 배운다.
- 첫 언어 선택은 개발자로 처음 취업하기 위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다.
참조할 페이지.
https://2021.stateofjs.com/ko-KR/libraries/back-end-frameworks/
음..ㅎㅎㅎ 물색해두었던 학원 강좌에서 뭘 가르치는지 다시 살펴봐야겠당..ㅎㅎ
'프밍 > [인강] 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분야별 주요 언어의 특징 - 앱 개발 (0) | 2022.10.12 |
---|---|
개발 분야별 주요 언어와 특징 - 웹 프론트엔드 (0) | 2022.10.12 |
비전공자가 진입하기 수월한 분야? (0) | 2022.10.11 |
웹 개발이냐, 앱 개발이냐. 뭘 선택해야 하나? (0) | 2022.10.05 |
초짜가 처음 들을 강의로 이것만은 피하자!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