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라인 레벨 요소
- textarea
- Python
- table
- Form
- select
- BODY
- 한정수 강사님
- Ol
- img
- 전체 선택자
- ::before
- option
- HTML정의
- JavaScript
- rowspan
- tag
- ::first-line
- BR
- Border
- ul
- 속성 선택자
- ::first-letter
- :active
- colspan
- Title
- Li
- Head
- !doctype html
- JAVA 개발 환경 설정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4)
개발 공부 기록하기
3강. tag란? html이란 언어의 문법 & 정보를 정의하는 형식 옷에 붙은 tag에도 옷의 속성, 설명이 부가되어 있잖아! 어디서 생산했고, 어떻게 세탁해야 하고, 어떤 소재로 되어있는지 등등 html이란 언어에서 이런 속성을 표현하는 것이 바로 tag. ★★★ tag는 로 끝난다. tag는 contents를 감싸서 그 정보의 성격과 의미를 정의함. ex. '생활코딩'이라는 text를 링크로 만듦. 그래서 사람들이 '생활코딩'을 누르면 저 링크로 이동하게 됨. 생활코딩 꺽쇠 , 등호 =, 큰 따옴표 "", 슬래시 / → 이것들이 html의 문법! a나 href → 이걸 html을 구성하는 단어라고 생각하면 쉬움. 속성: tag의 부가적인 정보. 이걸 쓸 수도 있고 안 쓸 수도 있다. 여러 개 쓸거면 ..
2강. html이란? 1. html = 웹페이지를 만드는 언어 HyperText -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된 형태로서 Markup - 태그라는 형식을 통해 정의한 Language - 사람 & 컴퓨터 & 시스템이 의사소통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언어 2. 언어에서 제일 중요한 것? → 약속!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세계에서도 html 언어가 가진 문법, 명령어가 미리 약속되고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약속과 정의를 사용해 'code'를 작성하고 그 code를 컴퓨터에(정확히는 browser에) 제출하면 browser는 그걸 해석해서 server와 client가 원하는 형태의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여주는 것.
1강. web이란? 1. html은 web의 시작점 web을 배운다면 html을 먼저 배우게 됨. 맥락 이해해 보자. → html이 모여 이루게 되는 web이 뭐야? → web을 구성하는 다른 기술에는 어떤 게 있어? → 그 각각의 기술들이 서로 어떻게 관계하면서 웹사이트&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게 되는 거야? 2. web과 Internet의 관계 Internet은 web을 포괄하는 개념(web ⊂ Internet) web은 Internet 위에서 돌아가는 여러가지 서비스 中 1 web처럼 인터넷 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에는 fps(파일 전송), e-mail 등이 있음. 3. 역사적 맥락 1960 → Internet 발명(US 군사조직 '알파넷') → 컴퓨터와 컴퓨터를 잇는 전세계에서 제일 큰 네트워크 형성..
멀리멀리 돌고 돌아서 코딩 공부를 시작해보기로 했다. 이학석사까지 따놓고 갑자기 웬 개발자? 뜬금없지만, 내 적성을 찾아보려는 하나의 시도로 생각해보자. 돈 잘 번대서 시작했냐는 질문에는 감히 아니라고 답할 것이다. "내 손으로 만들어서 쓸만한 게 나오면 재밌을 것 같아서" 주방에 한 번 자발적으로 들어가 본 적도 없던 내가 요리도 그렇게 시작하고 재미를 느꼈으니까, 코딩을 배우기 시작하다 보면, 그렇게 엮은 코드로 뭔가가 탄생하면, 재밌을 것 같다. 블로그 처음 써봐서 어떻게 써야 잘 쓰는 건지 모르겠다. 아무튼, 생일 기념으로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 고민하다가 뜬금포 스타트. 내일부터 이것저것 더 찾아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