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라인 레벨 요소
- :active
- ul
- BODY
- Ol
- JavaScript
- ::first-letter
- JAVA 개발 환경 설정
- select
- 한정수 강사님
- !doctype html
- table
- colspan
- ::before
- textarea
- ::first-line
- Li
- BR
- 속성 선택자
- Head
- Form
- rowspan
- Python
- tag
- 전체 선택자
- Border
- img
- HTML정의
- option
- Title
- Today
- Total
목록프밍/HTML (57)
개발 공부 기록하기
일반적으로 1줄의 text를 입력하는데 최적화된 와 다르게 는 여러 줄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text field를 만드는 tag이다. 값 이 tag 이후에 나오는 전송 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전송되는 건 열린tag와 닫힌tag 사이에 적힌 '값' 부분(즉, content)이다. rows="n" n개의 행(가로줄)의 textarea가 생성된다. cols="n" n개의 문자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textarea가 형성된다. 단, 폰트나 여러 다른 이유로 그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어 근삿값으로 이해하자. 예제 1. 10줄의 약 40자 정도의 text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ㅎ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는 control을 생성한다. 서버로 전달할 데이터이지만 사용자에게는 노출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인 경우 사용한다.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은 아니다. 밑줄 친 부분처럼 화면상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①이름과 ②사용 언어인 것인데, ②는 굳이 사용자가 볼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판단해서 가려놓은 셈이다. 사용자가 여러 페이지에 걸쳐서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각각의 페이지의 상태를 시스템 알고 있어야 한다. ex, 사용자가 이전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입력했는지/아닌지, 사용자가 어떤 형태의 사용자인지 등 현재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는 아니지만, 현재 페이지에서도 그 데이터가 필요할 때,그러한 정보들을 hidden으로 숨겨서 ..
보안이 중시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칸을 만드는 것. 유추되면 안 되는 정보를 입력할 때는, 로 비밀번호 입력 칸을 만들 수 있다.
속성 설명 type=" " 어떤 성격의 데이터를 넣을 것인지 써 주는 곳. 무엇을 속성값으로 갖느냐에 따라서 만든 Control의 쓰임 및 작동 방법이 완전히 달라진다. 속성값이 text면 text field가 되는 것이다. name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의 이름 value 속성값에 적힌 것이 웹 페이지에 드러난다. 즉,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인 셈. disabled="disabled" 이 속성이 포함된 Control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어떠한 데이터를 사전에 입력해놓았다 하더라도, 이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지 않는다. form을 불능화(不能化)한다. readonly 읽기 전용으로 설정된 곳에 사용함. 사용자가 값을 입력할 수 있는 곳이 아님. 이미 입력된 값이나, 기본적으로..
form 사용자의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 로그인을 위해서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사용 회원가입을 하기 위해서 개인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 블로그나 게시판에 글을 작성하거나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 텍스트 필드, 라디오버튼, 체크박스와 같은 컨트롤을 생성하는 tag이다. method="get" action에 입력한 URL에 ?(물음표)로 구분되는 파라미터의 형태로 전송 method="post" header의 body에 포함해서 전송 속성값은 더 있지만, 주로 사용하는 것 2가지만^^ 예제 1. ↓ 이 GET이라는 상자와 POST라는 상자로 묶인 그룹을 의미한다. 그 안에 은 '닉네임 : ~ 전송 버튼'까지를 의미한다. 직업 옆의 저렇게 선택할 수 있는 박스를 '콤보 박스(combo box)'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