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공부 기록하기

[생활코딩] 29강. URL 본문

프밍/HTML

[생활코딩] 29강. URL

태영(泰伶) 2022. 10. 27. 21:47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에 있는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보가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전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식별자.

 

사전적 의미

uniform: 획일적인, 한결같은

resource: 자원, 물자

locator: 위치 탐사 장치

 

그래서 우리는 이 URL을 이용해서 정확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예제.

http://codingeverybody.com/codingeverybody_html_tutorial/url_72/example2.html?mode=view#bookmark

부분 명칭 설명
http:// scheme
= protocol
통신─디지털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하는 데 사용하는 약속.
http:// 이 뒤에 나오는 정보를 어떠한 통신 규약에 따라서 주고받아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것.
웹 페이지의 주소창에 http://를 제외하고 적으면, http://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ex) http, ftp
codingeverybody.com hosts
= domain
자원이 위치하고 있는 웹 서버의 이름.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알파벳으로 된) 도메인이나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주소 체계인) IP가 이 자리에 사용된다.
여기 적힌 주소를 가진 '그 컴퓨터'를 식별하는 역할이다.
/codingeverybody_html_tutorial/url_72/example2.html url-path 루트 디렉토리부터 자원이 위치한 장소까지의 디렉토리와 파일명.

hosts로 식별된 '그 컴퓨터' 안에 위치하고 있는 resource(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가 위치하는 장소를
'이 폴더 안에 이 폴더 안에 이 폴더에 있는 파일.....'
이렇게 지정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mode=view query 웹 서버에 넘기는 추가적인 질문.

보통 html에서는 잘 정의하지 않는 것.


url-path의 최종 파일에다 mode=view라는 정보를 넘겨준다는 뜻. 이를 url-path와 구분하기 위해 ?(물음표)를 써준다.
#bookmark bookmark 하이퍼링크를 클릭했을 때 특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

url-path의 바로 그 데이터 안에서 '특정한 지점'으로 사용자를 스크롤하게 만들 수 있다. 

(하핳.. 상당히 colorful하네..ㅎ)

 

자, 그렇다면, 실제 URL 주소로 위의 내용을 알아보자!

 

https://ko.wikipedia.org/wiki/HTML#.EB.AA.85.EB.AA.85_.EA.B7.9C.EC.B9.99

 

     https**라는 protocol(통신 규약)에 따라서

          ** https는 보안이 강화된 http로 이해하면 쉽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주고받는 모든 정보를 암호화해 놓은 것!

     ko.wikipedia.org라는 host(= domain)이라는 컴퓨터에 간 다음에

     /wiki/HTML, 즉 wiki라는 폴더에서 HTML이라는 파일을 찾아줘.

     그곳에서 #.EB.AA.85.EB.AA.85_.EA.B7.9C.EC.B9.99라는 곳까지 스크롤을 내려줄래?

 

 

URL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정보를 나타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