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16강. 표 <table>, <tr>, <td>, <th>
표
- 데이터를 구조화 할 때 흔히 사용된다.
- 레이아웃으로도 활용될 수 있지만,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면 div, CSS 등을 이용한다.
- <th>는 데이터 그룹의 제목에 해당한다. (header cells)
- <td>는 th tag에 속하는 데이터 그룹(standard cells). 세로줄, 즉 열에 해당한다.
- <tr>은 표의 가로줄, 즉 행에 해당한다.
예제 1.
<table>
<tr>
<td>1열</td>
<td>2열</td>
</tr>
</table>
이렇게, 모든 표는 <table>로 시작해서 </table>로 끝난다.
그 안에는 원하는 행(가로줄, row) 개수만큼 <tr> ~ </tr>이 작성되고,
<tr> 안에 원하는 열(세로줄, column) 개수만큼 <td> ~ </td>가 작성된다.
= 표의 한 칸, 한 칸, 그러한 박스를 구성하는 건 곧 <td> 다!
예제 2.
데이터의 title 역할을 해 주는 tag는 <th>이다!! → 굵은 글씨(bold)로 표시된다!
(무울론, CSS를 추가로 학습하게 되면, 굵은 글씨로 보이는 이 특성을 얼마든지 다르게 바꿀 수 있다!)
예제 3.
n개의 행이 하나의 박스로 병합되었다. = rowspan 속성을 사용했다.
row(행) + span(묶다, 통합하다)
rowspan="n"
n개의 행을 하나로 묶는다.
병합되어서 굳이 다음 행의 같은 열에는 어떠한 데이터를 적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기서는 <td>를 생략한다.
그래서 모든 <tr> 안의 <td> 개수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제 4.
n개의 열이 하나의 박스로 통합되었다. = colspan 속성을 사용했다.
column(열) + span(묶다, 통합하다)
colspan="n"
n개의 열을 하나로 묶는다.
병합되어서 굳이 다음 열에 어떠한 데이터가 작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td>를 생략한다.
그래서 모든 안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